우리나라 국민들은 문화관광의 개발과 문화재 정비에 더 많은 문화예산이 배정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이 (주)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3∼15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예산을 중점 배정할 문화분야로 '관광벨트 조성 및 문화관광의 개발'(28.2%), '역사문화환경 조성 및 문화재 정비'(24.0%), '소규모 문화기반의 건립과 확충'(14.9%),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12.5%), '대규모 문화기반의 건립과 확충'(11.3%), '문화예술인의 창작여건 개선'(9.1%) 등이 꼽혔다.
'2000년도 문화예산이 정부예산의 1%를 넘어선 것을 알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78.7%가 '모른다'고 응답했으며 '들어본 적은 있다'(15.9%)거나 '잘 알고 있다'(5.4%)는 대답은 많지 않았다.
'문화예산 1%의 의미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국민 문화향수권의 확대'(43.0%), '지식기반 및 문화사회 기반 구축'(31.1%), '문화예술인의 노력 격려'(11.4%), '경제위기를 극복했다는 자신감의 표현'(10.7%) 등으로 응답했다.
문화예산 1%의 적절성에 관해서는 '적절하다'(33.2%)거나 '더 늘어났어야 한다'(28.9%)는 응답이 60%를 넘은 반면 '문화보다 시급한 분야에 더 많이 배정됐어야 한다'(37.9%)고 주장한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현재 문화예산 집행의 문제점으로는 '투명하지 못한 예산배정'(48.0%)이 가장 많이 꼽혔고 '문화행정의 비전문성'(26.8%), '예산집행 산하기관에 대한 과도한 예산배정'(8.2%), '이벤트 사업에 대한 과도한 예산배정'(8.1%), '문화시설에 대한 과도한 예산배정'(6.9%) 등이 뒤를 이었다.
문화재원의 확보방법에 대한 응답은 '중앙정부의 예산지원'(35.0%),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지원'(29.1%), '문화예술인과 단체 스스로의 노력'(17.4%), '기업과 개인의 지원'(1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