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3高 지역경제 파고 업계 '노심초사'

입력 2000-01-20 00:00:00

원고.고유가.고금리 신3고(高)가 지역경제에 타격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높은 가운데 그 여파로 물가불안과 고비용구조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많아지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어디까지 지속될 것인가에도 관심사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이들 현상이 일시적인 것이라며 낙관하는 분위기다.

▲신3고 여파 및 전망고유가는 물가불안의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17%포인트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원고는 무역을 비롯한 실물에 연계되지 않고 외국인 투자자금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다. 무역수지는 균형을 이루고 있는데도 외국인 투자자금이 올들어서만 1조원에 이르는 등 봇물처럼 밀려오고 있어 수출업체들은 앉아서 손해를 보고 있다.

고금리 역시 또다시 고비용구조로 연결돼 기업 자금줄을 죄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5%에 이르는 장단기 금리차는 기업들의 단기자금 차입확대로 이어져 작은 외부충격에도 허물어지는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인플레 기대심리는 이같은 고금리 현상을 부추길 공산이 높다.

올해 경제성장률 6%수준 달성, 소비자물가 상승률 3%이내 억제 등 안정적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정부정책 방향은 연초부터 큰 걸림돌을 만난 셈이다.

▲정부 대책고유가에 따른 물가불안 가능성은 적다는 게 정부 견해다. 국내 석유량 공급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두바이유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데다 겨울이후에는 석유수요가 떨어지기 때문이란 것.

원고에 대해서도 정부는 하반기부터 주춤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급격한 변동이 없고 1천100원대에서 움직인다면 우리 경제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금리는 이보다도 빠른 다음달 중순부터 다시 한자릿수로 떨어질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2월8일 대우채 환매를 앞둔 자금수요에 따라 적어도 1%포인트 금리상승분이 제거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채권시장을 활성화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얘기도 나온다.

문제는 정부의 이같은 견해가 맞아떨어지지 않더라도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데 있다. 유가, 환율 모두 손 쓸 여지가 적은 '세계화된' 문제인 데다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