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안동 갑 지구당위원장인 김길홍 전 의원이 7일 탈당, 김용환 의원과 허화평 전 의원이 추진중인'희망의 국민신당'(가칭)행을 택하면서 지역 자민련 인사들의 저마다의 활로 모색이 가시화되는 것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중선거구제·복합선거구제 등 지역 자민련의 주장이 무산된 데다 지역 자민련의 대부격인 박태준 총재의 총리행이 확정되는 등 지역 자민련 인사들의 정치 입지가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 그같은 관측의 토양을 만들고 있다.
이런 까닭에 김 전 의원은 탈당이란 최강수를 택했고 최재욱 대구 달서을위원장과 중구 출마가 예상돼 온 이의익 전 대구시장 등은 총선 불출마에 기울어 있다. 박 총재가 총리로 가면 최 위원장은 국무조정실장으로, 이 전 시장은 정부 공사 쪽 책임자로 가기를 희망하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북 북부지역 한 위원장도 입각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에 최근 이수성 전 총리와 정호용 전 의원 등이 허 전 의원의 국민신당에 합류할 수도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국민신당이 지역 자민련 인사들이 옮아 갈 주요 대안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도 지역 자민련의 동요를 부추기는 형국이다.
결국 이들 개개인의 속내를 들어보면 당을 떠날 마땅한 명분이 없다는 게 고민이다.
7일 오전 열린 자민련 대구·경북지부 신년 단배식장에서도 이같은 분위기가 짙게 깔렸다. 시·도지부장인 박구일·김종학 의원이 "자민련이 독자성과 정체성을 내세워 선거에 임한다면 총선에서 다시 녹색바람을 일으킬 수 있으니 단합하자" "잘잘못이 있더라도 공동정권은 숙명이며 대구·경북지역에서는 반드시 연합공천을 해 투지로 싸우자"는 등으로 총선 필승 목소리를 높였으나 힘이 실리지 않았다. 오히려 박철언 부총재의 "국민회의가 자민련을 소홀히 하거나 민심을 외면하는 정책 결정을 되풀이한다면 우리는 독자적 길을 갈 것이며 특히 정권이 도덕성 상실을 되풀이한다면 결별까지 할 각오가 있다"는 말이 더욱 솔직한 말로 느껴졌다.裵洪珞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