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이만섭 총재권한대행 발언파문이 좀체 가시지 않고 있다. 이 대행이 직접 공개사과까지 했지만 자민련은 강경입장을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사과만으로는 안된다며 후속조치를 거론하는 것을 볼 때 뭔가 확실히 매듭을 짓고 가겠다는 심사로 보인다.
김영배 전 대행 경질때와 마찬가지로 김종필 총리까지 나섰다. 김 총리는 지난 1일 김현욱 총장 등 당직자들에게 "이번 기회에 허튼 소리가 안나오도록 해야 한다"며 강경 대응을 지시했다. 그러자 잠시 주춤하던 김 총장 등 주요당직자들도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완강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회의 측이 양당 3역회의에서 매듭을 짓자고 나섰지만 이마저도 거부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민련이 새해 벽두부터 우당인 국민회의 문제를 걸고 넘어지는 이유는 뭘까. 일단 이 대행이 언급한 연합공천 불가론이 신경을 건드린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의 지시 후 김 총장이 "연합공천과 관련해 이 대행의 인식이 그렇다면 각자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낫다"고 한 것에도 이같은 배경이 깔려 있다.
자민련 측에서는 이 대행의 발언이 연합공천에 대한 국민회의 측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지지도가 약한 자민련은 연합공천에 사활이 걸려 있다.
특히 이한동 의원 영입과 함께 수도권을 승부처로 생각하고 있는 자민련은 50대 50의 지분원칙을 반드시 관철해야 하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행이 연합공천 불가론을 거론했기 때문에 좌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자민련 비토세력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있다. 이 대행은 이미 임명 당시부터 김 총리와의 불편한 관계가 화제에 올랐던 인물이다. 이런 이 대행이 김 총리 복귀를 앞두고 자민련을 자극하고 나왔기 때문에 미리 쐐기를 박을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국민회의 내 자민련 비토그룹의 입을 봉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양당 관계를 볼 때 다가올 총선정국에서 이 대행 발언 파문 등은 엄존할 것으로 보여 자민련의 고민이 깊어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李相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