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복합선거구제 제의를 소선거구제 수용의 전단계로 보고 있다. 중선거구제를 주장하고 있는 자민련 박태준총재에게 퇴로를 열어 주기 위한 제스처일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여야는 각각 복합선거구제와 권역별 정당명부제, 소선거구제와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주장하면서 입장차를 좁히지 않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타협안의 윤곽을 만들어가고 있다.
일단 여야는 10일 2차 3당3역회의를 열지만 큰 진전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선거법 협상의 결과를 낙관하고 있다. 여권이 정당명부제의 부대조건으로 내건 △권역별 정당명부제와 비례대표의 상한선(3분의2) 설정 △1인2투표방식 △지역구와 비례대표 동시출마 허용 등에 대한 입장도 정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공식적으로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도입에 대해 반대하지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다. 또 권역별 정당명부제와 비례대표제의 상한선 설정, 1인2투표방식도 크게 손해볼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역구와 비례대표 동시출마 허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여론 때문에 반대하기로 했다.
최대 쟁점인 인구 상·하한선에 대해서는 여야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지만 한나라당이 하한선을 8만5천명으로 제시하면서 상한선에 대해서는 4대1기준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내세움에 따라 협상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국민회의 박상천총무는 9일 "한나라당 이부영총무가 인구편차를 3.5대1로 줄이자고 제의해 왔다"고 밝혔다.
물론 인구편차에 따라 여야의 주요 지지기반인 영남과 호남지역의 통폐합 선거구 수가 달라진다. 여야는 두 지역에서 비슷한 숫자를 줄이는 선에서 타협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한나라당의 선거구 안에 따르면 대구·경북에서는 대구 서구갑·을과 경주갑·을, 안동갑·을 등은 1개 선거구로 통합되게 된다. 하한선에 미달하는 의성은 군위와 합쳐 선거구를 유지하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고 구미갑·을은 현행 선거구가 유지된다. 물론 한나라당은 현행 지역구 감축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는 입장이다.徐明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