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주장이 학계로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9년 사이 우리나라에 총 244건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 내진 설계등 재해 경감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국내 발생 지진중 절반 이상이 원자력 발전소가 집중돼 있는 울진, 경주등 동해안에서 발생, 이 지역 특수시설에 대한 정밀 점검등이 필수적이라는 여론이다. 또 일본 근해에서 발생하는 해저 지진이 한 시간 반만에 동해안 일대에 해일 피해등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돼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이 한나라당 강재섭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지진 발생 현황에 따르면 91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은 총 244건이며, 이중 울진, 경주등 원자력 발전소가 집중돼 있는 동해안에서 125회나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영남권의 원자력 발전소 인근 지역인 경주, 포항, 울진과 울산, 양산등지에서도 총 건수의 12.7%인 31건이나 됐다.또 진도 3(건물내 집기 등이 흔들리고 공포감을 느낄 수도 있는 수준) 이상의 지진 건수의 경우 지역에선 모두 19건이며 전국적으론 92건 이었다. 울진, 경주, 양산 등지에선 14건 이었다. 또 기상청이 30일 개최한 '지진 해일 재해경감을 위한 워크숍'에서도 서울대 안희수 교수가 일본 근해에서 진도 7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90~120분만에 동해안이 해일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고 밝혀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원전 건설의 재검토 및 기존 원전의 안전성과 관련한 논란이 일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원전관리를 맡고 있는 한전측은 "울진원전 등 국내 원전의 경우 지진규모 7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게 내진설계를 한 만큼 안전성에는 별다른 문제가없다"고 밝혔다.
徐奉大·黃利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