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전계열사로 수사 확대

입력 1999-09-03 00:00:00

현대 주가조작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지검 특수1부(이훈규 부장검사)는 3일 현대측이 현대전자외에 강원은행 등 다른 계열사의 주가도 조작한 혐의를 잡고 수사를 사실상 현대그룹 전계열사로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현대전자 뿐만 아니라 강원은행, 현대정공, 현대자동차, 현대종금, 고려산업개발 등 10여개 계열사의 주가가 조작된 의혹이 제기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이들 회사의 주가동향 자료를 넘겨받아 정밀 분석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강원은행 주가조작의 경우 현대증권 이익치(李益治) 회장과는 상관없이'다른 지휘라인'에 의해 이뤄진 것으로 파악돼 현대 주가조작 사건이 그룹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기획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지난해 현대전자 주가조작 당시 그룹 구조조정본부 부사장을 맡았던 이계안(李啓安) 현대자동차 사장과 그룹경영전략팀장인 노정익(盧政翼) 전무를 이날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 그룹의 개입여부를 조사했다.

검찰은 특히 이사장을 상대로 그룹차원에서 현대전자 등의 주가조작에 개입했는지와 현대증권 이회장과 정몽헌(鄭夢憲) 현대 회장 등 정씨 일가에 관련 내용을 보고했는지 여부 등을 추궁했다.

검찰은 또 지난 4월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된 금강개발 정몽근(鄭夢根) 회장이 이 회사 홍모 이사와 짜고 지난해 6월 현대측의 금강산 관광 사업을 전후해 기업내부 정보를 이용, 금강개발 주식 18만여주(7억3천여만원 상당)를 25차례에 걸쳐 매입, 4배 이상의 시세차익을 챙긴 혐의에 대해서도 조사중이다.

검찰은 금주말까지 보강조사를 끝내고 내주초부터 김형벽(金炯璧) 현대중공업회장, 박세용(朴世勇) 현대상선 회장을 불러 현대증권에 각각 1천882억원과 252억원의 자금을 주가조작에 투입한 경위 등을 조사한 뒤 이 현대증권 회장을 소환, 주가조작 혐의가 확인되는대로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한편 금감원 자체조사로 적발되지 않았던 강원은행 등 다른 현대그룹 계열사들의 주가조작 사실이 검찰 수사로 드러남에 따라 금감원의 축소.은폐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