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성 세천리 지방단지 추진 배경

입력 1999-09-01 00: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가 달성군 다사면 세천리에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키로 한 것은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 지연에 따른 대구지역 공장용지의 절대 부족이 가장 큰 이유다. 또 위천단지가 지정되더라도 공장입주까지는 수년이 소요돼 이기간동안 공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지방단지가 필요했다.

특히 지가 상승으로 공장들의 대구권 및 국외로의 '탈대구 현상'을 심화시켜 대구시로서는 값싼 공장용지의 개발과 공급이 절실한 형편이었다.

93년 이후 역외로 빠져나간 지역업체는 직물, 기계, 주물 등 7개 업종 100여개 업체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코오롱과 제일모직으로 대구공장들이 김천과 구미국가산업단지로 각각 이전했다. 중소기업들은 '다산주물단지', '진량단지', '왜관단지' 등 대구 인근지역의 협동화단지나 지방산업단지로 이전했다.

태왕, 동국 등 일부 지역기업은 중국 등 동남아에 현지공장을 설립했다.

이같은 지역기업들의 대구이탈은 기능인력 부족과 정보, SOC, 항공통신 등 중추관리기능 취약이 주요인이지만 값싼 공장용지를 구하지 못한 때문으로도 풀이되고 있다.

시는 지난 97년 위천단지 지정 지연으로 지방산업단지 조성 필요성을 절감, 세천리를 지정키로 했으나 당시 분양중이던 성서지방산업단지 3차 2단계 사업의 분양이 저조한데다 IMF로 사업을 취소했다가 이번에 재추진케 된 것.

대구시는 당초 다사면 봉촌리와 구지면 내리 등 2곳(각 30만평 규모)도 검토했으나 기반시설과 입지여건이 좋지 않아 세천리만 우선 지방산업단지 지정을 검토키로 했다.

시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업체를 입주시키되 자동차 부품업체와 기계업종 위주의 단지 조성을 고려 중이다.

한편 대구시는 세천리와 금호강 서편 매곡리를 연결하는 30m 도로를 건설, 진입도로로 활용하고 단지내 2만4천kW의 변전소와 5천600회선의 전신전화국을 건립할 예정이다. 또 단지 남쪽에 2만t규모의 오.폐수처리시설, 단지 동쪽에 4만1천t규모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계획중이다.

洪錫峰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