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강력한 재벌개혁 의지를 천명한 것이 '재벌해체'를 선언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데 대해 그렇지 않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박준영(朴晙瑩)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8·15 경축사 내용을 재벌해체로 이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런 뜻이 아니다"고 먼저 말을 꺼내고 "재벌을 해체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대변인은 "김 대통령이 지난해 재계와 약속한 투명성 제고 등 5개 개혁원칙의 연장선상에서 재벌의 금융지배 개선 등 3개 원칙을 추가한 것"이라며 "개별 기업으로서 경쟁력을 갖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기호(李起浩) 경제수석도 이날 오전 김 대통령과 면담했음을 밝히면서 "김 대통령도 그런 뜻(재벌해체)이 아니었다"고 전했다.
이 수석은 '재벌해체를 시사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설령 시사라 하더라도 해체라는 표현은 과하다"며 "소유구조에 관해 손대겠다는 게 아니라 집단경영 방식의 경영구조를 개별기업의 독자 결정과 책임구조로 바꾸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내주 예정된 정·재계간담회에서 재벌의 참여를 배제하고 정부와 금융계 대표만 참석, 재벌개혁 방안을 논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다른 청와대 고위관계자의설명에 대해서도 이 수석은 "최근 일부 수석간에 그런 논의가 있었으나 (재벌배제 방침이) 아직 확정된 게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