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53주년 특집-한일합방이후 240여만명 강제 징용-(1)형성과정

입력 1999-07-07 14:29:00

일제의 식민지 정책과 전쟁을 위한 강제 연행으로 형성된 재일교포 사회. 지난 1995년에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도 창단 50주년을 맞았다. 100년의 한인 일본 이주 역사속에 이제 재일교포 사회도 서서히 변화의 물결 속으로 흘러가고 있다.

새로운 천년을 맞으면서 그들이 걸어온 차별과 편견의 길을 더듬어보고 현재 해결해 나가야할 현안 문제와 내일의 가능성도 찾아나서본다.

〈편집자주〉

19세기말 한반도의 정세는 열강의 각축장이 되면서 풍운에 휩싸이게 되고 재일교포의 역사도 한 많은 일세기가 시작된다. 현재 일본에서 협정 영주권을 가지고 살고 있는 재일교포의 숫자는 약 70만명으로 보고 있다. 그러면 이들은 언제 어떤 연유로 고국을 떠나 일본에서 살게 됐는지 그 형성과정을 우선 알아보자.

일본 내무성 조사자료에 따르면 1895년경의 재일한국인 수는 12명에 불과했는데 한일합방이후인 1915년 경에는 3천917명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일본 이주의 시점은 1910년 한일합방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비약적인 공업발전은 불가피하게 저임금 노동력을 필요하게 되었고 일본은 이를 식민지 치하의 한반도에서 구하려 했다. 한국인 노동자는 일본인 노동력에 비해 저렴했고 마음대로 부릴 수 있다는 이점도 있었다. 따라서 일본의 기업들은 한국인 노동자 확보를 위해 혈안이 됐다. 같은 시기 일제의 토지 수탈 정책으로 많은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유랑길에 나서거나 도시의 품팔이로 전락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인 기업가들은 소개업자를 시켜 한국인 노동자들을 쉽게 유인할 수 있었다.

황국신민서약을 강요하고 중일전쟁이 발발했던 1937년에는 73만5천689명이나 일본으로 건너가 살고 있었다. 당시 일본에는 관동대지진이후 실업자가 급증, 한국인 노무자들의 실업률은 53.64%에 달했다. 한푼의 저축도 없는 한인 실업자와 그 가족들의 생활은 비참한 상태에 빠져 있었다. 유아들의 결식이 오래 계속되어 이들의 사망률은 60%에 달했다.

이러한 혼란속에 재일 한국인들에게 가중되는 부담은 주택난이었다. 흔히 한국인이 방을 얻고자 하면 '가옥 임대중 빈대가 발생할 시에는…' 등의 모욕적인 단서 조항이 계약에 첨가되기도 했다. 이들중 북해도의 경우 탄광 노무자는 50%나 됐으며 가장 위험도가 높은 갱내 인부의 60~70%는 한인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1938년 조선총독부는 국민동원법에 의거한 대대적인 노동자 징발에 착수했다. 1942년에는 조선징용령을 동시에 발령하여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적극적인 방법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것이 곧 강제 징용으로 1944년에는 '징병령'까지 실시돼 일본 전쟁산업 뿐 만 아니라 직접 전쟁 포화속으로 한국인 청년들을 강제 연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이미 일본에 살고 있던 우리 동포들은 193만6천843명에 이르고 있었다. 징용·징병된 한국인의 숫자는 약 600만명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중 일본으로의 강제연행은 1939년에서 45년까지 약 116만명에 달했다.

이 숫자를 합치면 약 240만명에 달하는 재일 한국인의 대부분이 강제징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1945년 일본이 항복할 당시에 재일 한국인의 숫자는 236만5천263명이었다.

통한의 세월을 살아온 이들은 갖가지 현해탄의 사연을 남겼고 재일교포라는 아픔을 지구상에 잉태시켰다.

〈朴淳國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