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이후 가격인상을 자제하면서 중저가제품 판매에 주력하던 유통업체들이 올들어 소비심리가 회복되자 고급제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청바지 전문업체인 게스는 지난해까지만해도 8만원대 이하 제품판매에 주력했으나 지난 3월 기존 가격보다 4만~5만원 비싼 11만~12만원대의 고가 청바지 '프리미엄진'을 내놓으며 고가시장 공략에 나섰다.
또 앤클라인, 마인 등 주요 의류브랜드들도 20만~30만원대 이상의 고급의류 판매비중을 늘리고 있다.
가전제품의 경우도 단순기능의 중저가품에서 다기능 대용량의 고가품 위주로 판매패턴이 바뀌고 있다. 삼성전자는 753L 지펠냉장고와 43인치 파브TV, LG전자는 730L 디오스냉장고 등 기존 제품가격의 2, 3배에 달하는 고가품을 올해 주력상품으로 출시했다.
동아쇼핑 가전매장의 경우 이들 250만원대 이상의 고가냉장고 판매고가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업체도 기존 제품보다 값이 20~30% 비싼 고급제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농심은 콩기름을 사용한 콩라면, 해표는 요구르트가 함유된 요고네즈, 매일유업은 1천㎖ 1등급 우유를 차별화 상품으로 내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