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부채가 2조원에 육박, 이자 포함 매년 5천억원 정도를 상환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어 앞으로 일반 사업이 거의 동결될 전망이다.
시에 따르면 98년말 현재 채무규모는 총 1조9천602억원(자치단체 1조3천425억원, 지하철 공사 6천177억원)으로 지난 98년6월말 1조6천603억원 대비, 6개월만에 3천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서울 부산에 이어 전국 자치단체중 부채규모 3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시민 1인당 채무액은 78만4천원으로 전국자치단체 중 4번째이다.
특히 윈리금 상환을 위해서는 빚으로 빚을 갚을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계속돼 대구시로서도 단기부채 갚기에 급급할 뿐 근본적인 부채문제 해결에는 아예 손을 놓고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전체 부채 중 대구시의 일반재원에서 갚아야 할 부채가 1조3천884억원이나 돼 불가피하게 주민 편의사업 등이 장기간 발이 묶이게 될 전망이다.
채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지하철 관련 부채. 지하철 건설본부와 지하철 공사 채무가 7천938억원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이 도로건설 부문이 4천921억원으로 대부분의 건설사업이 빚으로 이루어져 앞으로 추가 도로사업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다음이 하수도 사업관련 부채로 전체의 24%인 3천206억원이다. 대부분이 하수처리장 건설에 투입됐는데 올해는 지산·안심 하수처리장 건설과 신천·달서천·북부·서부 등 기존 4개 처리장의 고도처리 시설에 투입돼 자치단체로서는 하수도 사업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를 상환기간별로 보면 단기채가 17%에 불과한 반면 중기채(5~9년) 중장기채(10~15년)가 전체의 77%를 차지, 앞으로 5년이후에는 엄청난 원금상환 압박에 시달리게된다.
조기현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은 "지하철 부채와 낙동강을 맑게하기 위한 하수처리시설 관련 부채때문에 지역민들이 편의시설 혜택을 보지 못하고있다"며 "중앙정부 차원의 특단의 조치가 있어야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