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여당 갈라서나

입력 1999-04-08 15:07: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7일 한나라당 서상목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은 공동여당의 불안한 동거를 극명하게 드러내주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각제 문제를 비롯해 각종 정치,정책적 사안을 놓고 사사건건 마찰을 빚어온 두여당이 결국은 최소 20여명의 반란표로 일격을 당하면서 향후 공동정권 운영에도 막대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두 여당의 불안한 모습은 우선 반란표의 책임 떠넘기기에서도 볼 수 있다. 국민회의는 표결 직후 반란표의 대부분이 자민련에서 나왔을 것으로 보고 의혹의 눈초리를 떼지 않고 있다. 지난 연말 검찰의 자민련 대전시지부 압수수색 과정에서 상당수의 자민련 대전.충청권 의원들이 반발한 것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그 동안 자민련 내각제 세력이 청와대나 국민회의 측의 '합당론','내각제 연기론'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온 점 등을 볼때 충분히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자민련 측은 국민회의 측의 이같은 시각에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표결 직후 가진 총재단회의에서 "이번 표결 결과는 전체 의원들 사이에 동료의원의 인신구속은 안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것도 이같은 국민회의측 시선을 의식한 것이다. 자민련은 특히 한나라당에서 국민회의로 이적한 의원들의 동정표도 상당수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빠뜨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날 표결에 대한 표 분석이 어찌됐건 양당공조에 비상이 걸렸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선 3.30 재.보선 승리로 정치개혁 작업에 심혈을 기울여온 청와대나 국민회의는 당장 여당내 반란표라는 암초에 부딪쳐 국정운영에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됐다.

특히 반란표가 자민련측에서 대거 나왔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는 양당 공조의 균열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내각제 개헌문제가 걸려 있는 마당에 자민련의 '몽니'가 계속될 경우 공동정부는 더욱 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김종필(金鍾泌)총리나 자민련의 내각제 세력이 내각제 공세를 더욱 강화할 경우 양당의 공조가 무의미해지는 상황으로까지 분위기가 반전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인식 때문인지 양당 수뇌부는 파장의 최소화에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당장 국민회의가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당지도부가 즉각 사의를 표명한데 이어 8일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한 것도 '서상목 부결' 정국을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반전을 시켜야 한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다.

자민련도 마찬가지다. 우선 서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이 자민련의 책임으로 비화될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공동정부의 한 축인 김총리가 "무슨 일을 그렇게 하나"라며 당지도부를 성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민련 내부에서도 당분간 연기하기로 했던 당직개편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태준(朴泰俊)총재 사퇴설까지 돌기도 했다.

결국 서의원 체포동의안 부결로 두 여당이 전면적인 지도부 개편을 단행하는 등 사태봉합에 나서고 있지만 벌써부터 금이 가고 있는 양당공조에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李相坤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