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건강교실-만성 중이염

입력 1999-03-30 14:03: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만성 중이염'이란 중이(中耳)의 만성적인 염증상태를 말하며 고막천공.난청과 함께 때로는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질환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3% 정도가 앓고 있다.대부분 소아에서 급성 중이염을 앓은 뒤 잘 치료하지 않았을 때 생기며, 물이 들어가서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소아에서 중이염은 감기 등 질병을 앓은 뒤 2차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중에서 약 10%정도가 만성으로 진행되므로 잘 치료 해야 한다.

이 질환은 고막 천공과 함께 이소골에 이상이 생겨 감기를 앓거나 귀안에 오염된 물이 들어갈 경우 고름 증상이 계속된다. 따라서 고막과 뼈의 재건 수술을 받아야 한다. 종전까지는 귀 뒤쪽이나 앞쪽을 10cm가량 절개하는 수술을 시행해 왔으나 요즘에는 보기 흉한 바깥 쪽 절개보다는 외이도내 절개를 통해 수술뒤 통증과 부종, 감각이상, 흉터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있다.

이 수술은 국소마취로 현미경을 통해 시행하며, 통원치료가 가능한데다 수술 전 머리카락을 깎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 때문에 의사들이 권장하고 있다.

박재율〈대구효성가톨릭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