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끌이 어업 사실상 합의

입력 1999-03-13 15:01:00

한국과 일본은 12일 도쿄(東京)에서 수산장관 및 고위당국자 회의를 잇따라 열어 양국 어업협정과 관련된 마지막 현안인 일본수역내 한국어선의 쌍끌이 조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또 한국어선의 복어채낚기 조업문제는 "중.일간에 거론되고 있는 센카쿠열도 분쟁문제와 별개로 한국어선의 일본 수역 내에서의 조업은 일본당국의 입어허가를 받아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해양수산부 관계자가 전했다.

양국은 한국어선의 쌍끌이 조업어선, 어획쿼터, 복어채낚기 조업 재개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는 13일 오후 박규석(朴奎石)해양수산부 차관보와 나카스 이사오(中須勇雄) 일본수산청장이 참가하는 양국 수산고위당국자 회의를 열어 매듭짓기로했다.

김선길(金善吉)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오후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농수산상과의 회담에서 한국어선의 쌍끌이 조업을 추가로 허용해줄 것을 일본측에 요구했다.

일본측은 이에 대해 '양국간 우호관계가 어업문제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현재 협의중인 어업현안 문제가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는 원칙에 동의한 뒤 "'일본업계 및 의회와 협의할 부분이 있어 검토할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일본측은 그러나 이미 합의된 어획쿼터를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양부 당국자는 "어획쿼터의 경우 우리가 이미 확보한 14만9천t에 쌍끌이 어획쿼터를 포함할 경우 북해도 명태쿼터를 줄이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