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체와 식당등에서 쇼핑백, 비닐봉투등 일회용품 제공을 금지하는 법률이 오는 15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관련업체들이 대책마련에 골몰하고있다.
특히 백화점, 할인점, 슈퍼등 유통업체들은 비닐봉투와 쇼핑백 무상제공이 금지될 경우 고객반발,인건비부담등 부작용이 클 것으로 보고 공동대안 마련을 협의중이다.
동아, 대구백화점과 삼성홈플러스등 지역 6개 대형유통업체 관계자들은 2일 비상대책회의를 갖고쇼핑봉투 무료배포금지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유통관계자들은 서울지역 대형업체 움직임에 따라 방침을 정하기로 하는 한편 추후 법률시행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 보완책을 대구시에 건의키로 했다.
지난 96년부터 장바구니를 가져오는 고객에게 그린쿠폰을 증정, 농산물 또는 쓰레기 종량제봉투로 교환해주고있는 동아백화점은 그린쿠폰제를 유지하는 방안과 쇼핑백 반환후 돈을 돌려주는 보증금제 병행실시 방안을 검토중이다.
월평균 5천만~6천만원가량을 쇼핑봉투 제작비로 들이고있는 대구백화점은 쿠폰발행제도가 고객불편등 문제점이 많을 것으로 보고 유료화하거나 환불보증금제 도입을 검토하고있다.삼성홈플러스, 까르푸등 대형할인점 역시 대체 바구니사용, 보증금, 쿠폰제등의 대안이 매출감소로 이어질까 우려하면서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있다.
주택가 중소형 슈퍼 업주들도 갑작스런 조치에 당혹하고있다.
10평미만 음식점에서도 일회용컵, 접시, 젓가락사용이 금지됐으나 당국의 철저한 사후 관리감독이따르지 않는한 단시일내 정착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패스트푸드 업체 역시 분리수거외에는 뽀족한 대안이 없어 회수율제고등대책을 검토중이다.
한편 서울지역 백화점업계는 5일 열리는 환경부와의 협의에서 쇼핑백 제공금지등을 규정한 '자원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개정안'의 시행규칙 완화와 실시 시기연기등을 요청키로 한것으로 알려졌다.
〈柳承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