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IMF환란조사특위는 26일 강경식(姜慶植)전경제부총리, 김인호(金仁浩)전청와대경제수석 등8명의 증인과 김용태(金瑢泰).김광일(金光一)전청와대비서실장 등 5명의 참고인을 출석시킨 가운데 이틀째 경제청문회를 계속했다.
특위는 이날 청문회에서 강전부총리와 김전수석 등을 상대로 △'펀더멘탈론'등 경제정책상의 오류와 △환란대책 실패 △임창열(林昌烈)신임부총리에 대한 인수, 인계 여부 등을 놓고 환란 책임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국민회의 정세균(丁世均)의원은 "97년초 한보사태와 7월의 기아사태로 실물위기는 금융위기로 번져 외환위기가 거의 폭발직전이었는데도 강전부총리는 펀더멘탈 타령만 하고 있었다"며 '펀더멘탈론'을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강전부총리는 "당시 대외적으로 떳떳하게 내놓고 말할수 있는 것이 펀더멘탈이었다는것이지 당시 환란에 대한 위기를 무시한 것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환란 방어대책과 관련해 국민회의 김영환(金榮煥)의원은 "강전부총리는 97년 외환위기가 밀물처럼 밀려올 때도 불과 33억달러정도인 IMF 정규한도만을 믿고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며대책 부재를 추궁했다.
임전부총리에 대한 업무 인수, 인계 여부에 대해서는 강전부총리와 김전수석 등이 미리 인수, 인계를 않았다고 시인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IMF구제금융에 대한 늑장 신청등 환란원인에 대한 추궁이 잇따랐다.
이에 앞서 25일 열린 청문회에서 증인으로 나온 홍재형(洪在馨)전경제부총리는 "97년 11월10일김영삼전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환란가능성을 알렸다"고 말해 김전대통령은 비공식적인 경로를통해 외환위기 가능성을 뒤늦게 감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 윤진식청와대조세금융비서관도 "김인호전수석 등이 자신의 건의를 무시하는 바람에김대통령에게 11월12일 위기를 직접 보고했다"고 말해 김전대통령에 대한 늑장보고를 시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