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마다 구성하는 '제2의 건국추진위원회'에 각종 관변단체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 반면시민단체 및 신진 인사, 전문가집단은 적어 참신성이 떨어지고 개혁 성향과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건국위원 인선을 마무리한 대구 중구는 위원 25명 중 공무원 및 구의원 등 당연직 위원을제외한 위촉직 위원 18명 가운데 8명이 새마을운동,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 평통 자문위원회 등국민운동단체 인사들로 채워졌다.
위촉직 위원이 30명인 대구 동구는 이들 단체 인사들이 9명이고, 서·달서·수성구는 28명 중 6명, 남구는 20명 중 4명, 북구는 39명 중 7명을 각각 같은 성격의 출신인사들로 구성했거나 인선할 예정이다. 경북 시, 군들도 상당수가 그 지역의 대표적 관변 단체 소속 인사 또는 시정 자문위원 등으로 채워졌다는 것이다.
각 시·군·구에서는 "국민운동단체를 완전 배제하거나 일부 단체만 참여시키기가 불가능해 '안배'차원에서 단체를 모두 포함시키다보니 인원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국민운동단체 인사들이 대거 제2의 건국위에 참여함에 따라 5~7명에 이르는 당연직 위원을 포함할 경우 '관의 시각'을 지닌 인사들이 절반에 이르고 있다. 대구 중구 경우 위원 25명 중 공무원과 구의원 7명, 국민운동단체 인사 8명 등 모두 15명이 이같은 인사들이다.
따라서 시민단체 및 행정기관에 참여한 적이 없는 신진 인사들의 제2건국위 참여는 저조하다. 시민단체 경우 일부 단체들이 건국위 참여를 거부한데다 구,군마다 시민단체가 별로 없어 시민단체인사들의 참여는 전무하다시피한 형편이다. 또 교수, 전문가 등은 상당수가 "건국위가 정치적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이유로 고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들은 "'구색 갖추기'식으로 건국위 위원들이 인선될 경우 위원회가 관의 주도로 흐를 우려가많다"며 "제2의 건국위의 취지가 개혁에 있다면 이에 걸맞은 위원회를 발족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이라고 말했다.
〈李大現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