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 '알뜰이용파'가 늘고 있다. 이동전화는 지난해말 가입자가 1천400만명을 넘어 필수품으로 자리잡았지만 비싼 요금 때문에 마음껏 쓰기엔 부담스런게 사실.
게다가 불경기가 장기화되자 이용을 줄이거나 아예 할인요금제에 가입한 뒤 주로 받는데만 쓰는실속소비가 자리잡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97년10월 PCS서비스 이후 이동전화 보급이 확대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이용량은 지난해 중반이후 떨어지기 시작해 지금은 지난해 초의 2/3 수준으로 감소했다.SK텔레콤(011)의 경우 지난해 3월 시간당 1인당 평균통화량은 1.19회였으나 1월현재 0.82회로30%가량 줄어들었다.
또 세이브, 이코노미, 패밀리 등 다양한 할인요금제 가입자도 지난해 중반이후 크게 늘어 사업자마다 전체 가입자의 30%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의 경우 기본요금이 싼 세이브 가입자가 지난해 1월 7%에 불과했으나 현재 20%에 육박하고 있다.
또 동일인 명의로 여러대를 가입하면 요금을 할인해주는 패밀리 가입자도 지난해 초 0.5%에서현재 약10%에 이르고 있다. 동일인 명의로 가입한 가족, 사원, 연인간 통화료를 면제해주는 신세기통신(017)의 패밀리 제도는 지난해 중반 시행하자마자 가입자가 폭증, 회사측이 골머리를 앓을정도이다.
이에 따라 사업자별 1인당 월 평균요금도 크게 줄어 SK가 3만7천원대에서 3만5천원대로, 신세기통신과 PCS업체들도 각각 3만원대와 2만5천원대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金在璥기자〉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김문수 "당이 나를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아" 유감 표명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