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예결위는 제2건국운동 관련예산 8천9백만원의 삭감 여부를 둘러싸고 계수조정 마지막날인 15일 저녁까지 집행부와 팽팽한 줄다리기를 계속하며 진통을 거듭, 결국 상임위 원안대로전액 삭감으로 막을 내렸다.
시의회는 이날 막판 계수조정을 통해 수정예산안 2조3천4백87억원(당초제출예산안 2조3천6백33억원)중 4백억원을 깎아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때 삭감(당초제출예산안 기준)한 2백33억원보다 결국 1백67억원을 더 삭감한 셈이다.
일반회계 경우 행사성이나 소모성 경비 및 문화예술, 시립예술단분야, 소방본부 관련 예산은 상당부분 삭감한 반면 감사행정과 관광진흥관련 일부 업무추진비, 종합복지관 운영분야는 오히려 증액시켰다. 또한 해외시장 개척관련 예산과 첨단산업 육성분야, 중소기업진흥부분 및 각종 시지원잡지.책자발간비용, 불요불급성 사업예산은 과감하게 칼질해 대구시의 요구를 뿌리치고 삭감해 집행부를 당혹케 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경우 달구벌사진공모전의 1천만원 증액을 제외하면 △월간 대구예술발간비 1억2천만원을 비롯, △시립미술관 실시설계비 8억8천만원△대구민속예술 발굴 3천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이밖에 달구벌축제예산 5천만원과 해외문화예술교류비 2천만원이 각각 깎이는 등 이 분야의 예산은 무려 39개항목을 삭감했다.
이밖에 여성발전기금 5억원 등 각종 기금들도 대폭 깎였고 △대구무역센터관련 시비 30억원 △구코오롱부지 공원조성비 10억3천8백만원 △도시녹화관련 17억원 등도 사업우선순위에서 밀려 삭감됐다. 이와 함께 논란을 빚었던 의원 해외여비문제는 당초6천3백만원에서 4천3백만원을 삭감했다. 그러나 감사행정분야의 1천만원과 종합관광정보센터건립비 등 관광홍보비는 7천5백만원이 증액됐고 종합복지회관 예산도 수십만원에서 수천만원씩 늘어났다.
특별회계 경우 교통사업에서 △시내버스 공동차고지 부지매입비 20억1천만원과 △시내버스 적자노선운행 손실보상 3억1천6백만원이 삭감됐고 △공단조성사업 2백억원 등이 깎였고 대구교육청예산은 담배소비세 전입금과 시세전입금 등 모두 22억원이 증액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