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고향을 찾아 이회창(李會昌)총재와의 완전 결별을 선언한 한나라당의 김윤환(金潤煥)전부총재가 반이회창연대 의사를 밝히는 등 새로운 길의 모색에 들어갔다. 그러나 행동이 곧바로 구체화되기 보다는 탐색전이 선행될 전망이다.
김전부총재는 고향방문을 통해 지역여론을 탐색하고 귀경한 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모여야 한다"며 비주류연대구축의사도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이와 관련,그동안 관계가 소원했던 이한동(李漢東)의원측과 만날 생각도 있음을 밝혔다. 그는 "고향에 있는 동안 이의원측에서 여러차례 만나자는 제의가 왔다"며 "회동 여부는 두고 보자"고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전부총재는 주말과 휴일을 구상에 전념했다.
한 측근은"그렇다고 당장 반이연대 구축을 본격화하거나 어떤 행동을 구체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장고(長考)가 이어질 것임을 예고했다. 이 측근은 또"당내 비주류로 연대의 파트너를물색하는 한편 이총재와의 관계를 주류와 비주류로 둘지, 아니면 극복의 대상으로 삼을지는 더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전부총재는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여권과의 교감설은 일축했다.민심이 따라주지 않는 방향으로 나갈 경우 지역에서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을 수 있다는 점때문에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전부총재의 장고 배경에는 지역출신 정치인들의 반응이라는 변수가 잠복해 있다.당직 인선을 둘러싸고 촉발된 지역의원들의 반발이 행동통일로 이어지지 못하고 흐지부지된 점또한 행동의 조기 가시화를 막은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또 이 측근은"여당의 세불리기와 청문회 정국 등 여권의 정국 운영방식에 따라 대응방법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국전개 상황에 따라 지역출신 의원들의 반응 또한 달라질 것이라는점도 부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김전부총재의 행보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지역민심이라는 데는 자신도 부인하지않는다. 지금은 시·도의원 수준에 머물고 있는 반이회창 기류를 어떻게 조기에 민심으로 확산시키느냐가 과제라는 것이다. 〈李東寬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