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조합이 11일 구간제 요금 조정, 대시민 사과 방침 등을 결정, 한발 '양보'함에 따라 버스사태해결의 걸림돌은 요금인하 문제만 남게됐다. 버스업계에 대한 검찰수사의 직접적 요인이 지난달10일의 요금인상을 둘러싼 시민단체, 대학-조합간의 분쟁이었던만큼 요금인하 여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합은 "경유값이 올라 회사 경영사정이 어렵다"면서도 "대구시가 요금검증을 통해 인하 근거를제시하면 요금인하를 즉각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일부에선 조합이 요금인하를 거부한 것아니냐는 지적이 있으나 그동안의 '절대불가' 방침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많다. 조합측이 요금인하 문제를 대구시에 넘기자 시는 11일 "조합에서 자체적으로 인상한만큼 조합이 시내버스 요금인상을 빠른시일내에 철회하여 달라"는 공문을 조합에 보냈다. 시와 조합은 요금인하를 위한 '물밑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조합측이 요금인하에 유보적인 자세를 보임에 따라 대구 YMCA 등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버스요금 불법인상 대책모임'은 12일 오후 대구시청 앞에서 시위를 갖고 즉각적인 버스요금 인하를 촉구했다. 대책모임 한 관계자는 "시내버스요금의 수익금 실사 등에 대한 용역조사는 방학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조사가 어렵다"며 "조합은 시민에게 사과하는 마음으로 버스요금을 즉각 인하하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구시, 조합, 시민단체간 입장이 팽팽하나 요금인하 전망은 밝은 편. 요금인하를 끝까지거부하자는 조합내 강경파들의 목소리가 이번 버스사태 이후 수그러들었고,시와 조합간에 본격적인 대화가 시작됐기 때문. 지난달 10일 요금인상 이후 대구시와 조합, 시민단체는 요금문제를 의논하기 위한 회의를 한번도 갖지 않았다. 이제라도 대구시와 조합,시민단체가 무릎을 맞대고 요금문제를 의논한다면 조만간 '성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李大現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