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우침 이야 진정 / 거룩한 恩惠 로구야. /…(중략)… / 窒息한 靈魂에 다시 / 사랑이 이슬나리도다. / 뉘우침 이야 진정 / 幸福스런 아픔 이여니!'(1932년 발표된 '뉘우침'에서)시인 정지용(1903-?)의 삶과 문학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종교시 5편이 발굴, 공개됐다.월간 '문학사상' 11월호는 '정지용과 천주교'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어 가톨리시즘이 그의 문학인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셩부활주일', '주여', '성모', '가장나즌자리', '뉘우침' 등 5편의 종교시를 부록으로 선보였다.
이들 시를 발굴한 문학평론가 이희환씨(인하대 강사)는 기고문에서 "1930년대초반 천주교잡지 '별'에 소개된 이들 시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것들"이라고 전제한 뒤 "가톨리시즘이 완강하게 지용의 삶과 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이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정지용이 언제 천주교에 입교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일본 도시샤 대학 졸업 한해 전인 1928년11월에 재일본조선공교신우회 서기로 활동하고 있음을 볼 때 그 몇해 전일 것으로 추정된다.이번에 공개된 그의 종교시들은 1927년 7월에 창간된 경성교구 천주교청년연합회의 기관지 '별'에 게재됐던 것. 정지용은 방지거라는 세례명으로 창작시 '셩부활주일', '뉘우침'과 번역시 '주여','성모', '가장나즌자리'를 소개했다.
이 가운데 후일 '은혜'로 제목이 고쳐진 '뉘우침'은 그의 서정적 시세계를 그대로 만날 수 있는것으로, 이씨는 "지용의 종교와 문학이 길항하는 첫 실험작"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