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10개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이 설계 잘못과 입주 부진 등으로 2년이상 전혀 가동되지 않는등 9백억원을 쏟아부어 만든 전국의 33개 산업.농공단지 폐수처리장들이 시설용량의 87%를 놀리고 있다.
14일 환경부가 국회에 낸 감사원 감사자료에 따르면 지난 89년부터 95년까지 수질환경보전법 등에 의거해 송탄 등 12개 산업단지와 양양 등 21개 농공단지에 국고와 지방비.업체부담금 등 9백6억3천9백만원을 투입해 폐수종말처리장을 설치했다.
특히 13억원을 들여 2년전에 준공한 북제주군 금능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등 10곳의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은 가동률 0%에 전체 21개 농공단지 폐수처리장의 평균 가동률도 8.6%에 불과하다.준공후 최장 7년이상 폐수처리장이 가동되지 않는 곳은 영동 계산, 청양 화성,무안 삼향, 해남 옥천, 구례 간전, 여천 화양, 상주 외답, 창녕 남지 농공단지로 이들 시설은 모두 환경부 산하 환경관리공단이 설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