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는 황낙주(黃珞周)전국회의장에 대한 검찰소환 방침으로 표적사정 공세가 또 다시 거세지자 정치권 사정을 조속히 매듭짓기 위한 수순이라는 식으로 한나라당측의 반발을 일축하고 있다.
반면 같은날 한나라당측 서울집회에 대한 노숙자들의 집단방해사건과 관련해선 '자작극'이라는음모론을 제기하는 등 정치쟁점화를 시도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지난 92년 대선당시, 선거자금으로 6억원을 받았다고 밝힌 한나라당 강성재(姜聲才)의원 발언도 국세청 대선자금 모금사건과연계, 과거 정권의 불법적인 자금모금 전통으로 연일 몰아세우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여권 단독의 상임위 운영도 계속 강행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대치정국에 대한 비난여론은 물론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내달 7일 방일행사 등을 감안,정국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부담감도 적지 않은 만큼 한나라당측과의 물밑 접촉노력도 병행해나가려는 움직임이다. 결국 본격적인 대화국면에 앞서 막판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국민회의는 30일 오전 여의도당사에서 간부회의를 갖고 정국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특히 노숙자들의 서울집회 방해이면에는 현 정권의 음모가 개입돼있다는 한나라당측 비난에 맞대응,과거 공작정치를 해온 전력이 있는 만큼 괴청년을 동원한 자작극의 의혹이 짙다는 역공을 펴는 한편 당국에 철저한 배후규명을 요청키로 했다.
그러나 한화갑(韓和甲)총무가 "이번 주말까지는 냉각기가 필요하다"고 밝힌데서 드러나듯 추석연휴 직후 야당측과의 대화에 본격 나서야 한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와 함께 황전의장의 소환방침에 대해 사정을 조기종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나 일부에선 당소속 김종배(金宗培), 채영석(蔡映錫)의원 등의 잇단 검찰 소환 방침과 맞물려 긴장하는모습도 감지되고 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