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이질 늑장대처 환자늘어

입력 1998-09-28 14:51:00

단포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제1종법정전염병인 세균성 이질환자에 대한 보건당국과 교육청의 늑장대처 등 관리소홀이 드러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역학조사결과가 발병 보름이 지난 지금까지 발표되지 않은데다 비슷한 증세를 보인 1백여명의설사환자를 단순히 가정에 격리, 치료해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 학교에서 복통 설사 환자가 잇따라 발생한 것은 운동회 다음날인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그러나 보건당국은 이들이 9일 운동회 당일 점심으로 학교서 제공한 오므라이스와 단팥도넛를 먹었고 끝난 후 야외서 지하수를 먹었다는 사실만 밝혀냈을 뿐 이렇다할 경로를 못밝히고 있다.게다가 이같은 초기 증세가 집단적임에도 불구, 영천교육청은 자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고 보건당국의 통보가 없으며 설사, 복통은 흔히 있는 증세라는 이유로 휴교 등 예방조치를 않았다.이때문에 보건당국과 교육청은 이 기간 설사 복통환자가 1백28명으로 무려 3배 가까이 늘도록 방치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또 교육청은 발병 후 운동회 수학여행 등 집단행사를 금지했다고 했으나 나머지 대부분 학교는경주엑스포견학을 추진한 것으로 밝혀져 법정전염병에 지나치게 안일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이다.결과적으로 이같은 두 기관의 태도는 보건연구원 검사결과 첫 확진환자가 발생한 19일 이후 24일까지 3명의 환자와 그 가족들이 격리수용에 반대, 설득하느라 시간을 끌어야 했다.이밖에 격리수용을 위해 병상을 갖춘 병원을 확보않아 확진 후 뒤늦게 조건을 갖춘 병원을 찾느라 법석을 떤 것은 보건당국의 무사안일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영천·金相祚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