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정국엔 2與도 찬밥

입력 1998-09-18 14:49:00

사정정국에 대한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소외감이 깊어가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강력한 사정의지에 따라 검찰수사가 강경 일변도로 치닫게 되면서정국운영에서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사정정보 접근에서도 야당과 별로 다를게 없을 정도로 통제당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때문에 양당 내부에선 "정치가 실종위기에 처했다"거나 "검찰공화국으로 가고 있다"는 등의 푸념까지 들리고 있는 것이다.물론 자민련측은 상대적으로 더 큰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의 소환대상 인사들이 야당쪽으로 쏠리면서 편파사정이란 비난여론까지 고조되고 있는 점을 우려한 듯 검찰측 수사방향에 대한 불만도 표출되고 있다.

실제로 한나라당 이기택(李基澤)전총재권한대행의 전격 소환에 대해 양당 지도부는 거의 대부분 예상치 못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대야 협상창구인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총무조차 소환 하루전까지만 해도 정국이 조만간 정상화될 것이라는 등 야당과의 물밑접촉이 거의 타결단계에 이르렀음을 시사했을 정도다. 결국 사정정국에서 여당이 배제당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 셈이다.

때문에 이전대행의 소환소식을 접한 직후 국민회의측은 김대통령의 사정 방침에 보조를 맞추려는듯 "사정은 국회정상화 문제와는 별도며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고 강경론으로급선회, 대야 접촉금지령까지 내리는 '법석'을 떨기도 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론 야당과의 협상을 통한 정치복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상존하고 있다. 내주부터 국회를 단독으로라도 소집하겠다는 방침 이면에도 실종된 정치를 일단 되살린 뒤 결국엔 야당과의 협상을 모색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자리해 있다.

정보력 부재에선 여당 실세들조차 예외가 아닌 듯 하다.

자민련측이 단독국회 소집 문제 등에 대해 국민회의측과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정 장기화로 자칫 소속의원들이 희생될지 모른다는 불안감때문에 유화론을 더욱 적극적으로 제기하면서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양당은 또한 이전대행과 함께 소환요구를 받은 이부영(李富榮)의원도 야당파괴저지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의 검찰 사정방향이 자칫 보복성이 짙다는 비난여론에 몰릴수 있다는 우려도 갖고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