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와 구조조정의 여파로 월급은 깎였지만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는 근로자가 내년에는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가 불확실한 재정여건을 감안, 내년도 근로소득세 면세점을 올해와 같은 연간 1천1백57만원으로 동결하기로 한 반면 산업계 전반에 걸친 경기침체의 여파에 따른 임금삭감으로 근소세 면세점 근처에 있는 상당수 근로자들의 연간급여가 면세점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임금삭감으로 연간급여가 면세점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근로자라도 근소세가 지금보다최고 34.8%까지 줄어드는 등 소득구간별로 많은 근로자들이 근소세 경감혜택을 보게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재경부가 최근 분석한 임금삭감에 따른 근로소득세 경감폭을 보면 월급여가 1백만원이고 배우자와 자녀 2명 등 3명의 부양가족이 있는 4인가족 근로자의 경우 현재는 매월 1천3백75원의 근소세를 내야 하나 월급여가 90만원으로 10% 삭감될 경우 연간급여가 근소세 면세점아래인 1천80만원으로 낮아져 근로소득세를 한푼도 내지 않게 된다.
또 월급여가 2백만원인 4인 가족근로자는 현재는 매달 5만6천7백50원의 근로소득세를 내고있으나 임금이 10% 삭감될 경우 근로소득세는 4만4백17원으로 28.8% 줄어들게 된다.특히 임금삭감률이 같을 경우 월급여가 2백50만원인 근로자의 경우 세부담은 지금의 월 14만원에서 9만1천7백50원으로 무려 34.5%나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월급여가 1백만원인 근로자는 임금이 5% 삭감되는 경우에도 연간급여가 근로소득세 면세점 이하인 1천1백40만원으로 내려가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게 되는 것을 포함, 5% 임금삭감시에도 소득구간별로 최고 17.9%의 근로소득세 경감혜택을 보게 된다.
재경부는 근로소득세 면세점 동결과 임금삭감으로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는 근로자가 크게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의 정확한 숫자는 추후 연말정산이 끝나야 정확하게 파악할 수있지만 소득구간별 근로자수 등을 감안할 때 적어도 수십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재경부는 또 올해와 내년의 근소세 면세점이 같기 때문에 올해 이미 임금을 삭감당한 근로자들도 근로소득세 경감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鄭敬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