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친지의 여러 아이들과 함께 한자리에서 어떤과목을 좋아하느냐고 물었더니 저마다산수, 자연, 미술등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과목들이 좋은 이유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데유심히 듣고 있던 한아이가 이상하다는 표정으로 몇등 하는지를 안묻느냐고 했다. 왜그러느냐니까 다른 어른들은 '몇등'만 묻는다는 것이다.
어느 외국인의사가 쓴 칼럼에서 이런 내용을 읽은 적이 있다.
그는 우리나라 사람들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마라톤경기에 참가하여 완주하였다고 자랑삼아말했더니 대뜸 몇등했느냐고 물어와 난감하더란다.
그에게는 몇등 보다 3시간이 걸렸지만 평상인으로서의 완주가 더 의미 있었던 것이다.몇등? 등수(위)란 상대 평가에 의한 비교의 결과치요, 어떤 기준이든 순서의 형태를 취한다.경쟁이 희소가치를 획득하기 위한 대립적 관계로 존재하는 한 이 순서는 필연적이어서 우리는 거의 맹목적일 정도로 집착하여 왔고 또한 체질화되어 있다 하겠다.
문제는 비교에 의한 상대적 가치에만 매달리다 보면 자기내면과 관련된 절대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자신이 남보다 잘하거나 남이 나보다 못하는 정도가 그 결과를 좌우한다. 그러므로 대상·범위에 따라 제한적인 내용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이에비해 후자는 잠재력의 개발을 기반으로 하는 자신의 확충, 즉 자기와의 싸움이다. 물론 양자는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가치들이다.
아무리 결과에만 치우친 상대적 가치라 하더라도 생존을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자신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는 절대적 가치를 간과한다면 참으로 아쉬운 일이라 하겠다. 결국 절대적 가치가 상대적 가치를 높여주는 기틀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