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우가 금년 쌀 수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시중 쌀 값이 오름세를 계속 보이고 있지만 이는 일시적 현상이라는 지적이 많다. 지난 7월초 20㎏들이 소비자 가격이 4만~4만1천원이었다가 이달 10일 이후 4만3천~4만5천원으로 올랐다.
이는 수해로 인한 가수요와 함께 쌀 공급이 원활치 않은 시기적 요인 때문. 현재 가격 진폭을 15%까지 허용하고 있는 정부는 쌀 값이 4만5천원을 넘으면 가격 개입정책을 사용한다.정부와 농협이 비축하고 있는 9백여만석 중 일부를 방출, 가격을 조절한다는 것.정부와 농협은 게릴라성 폭우에 따른 농경지 유실로 최악의 경우 올해 쌀 생산량을 풍년이었던 지난해 보다 5백만섬이 줄어든 3천3백만섬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한해 우리 국민이 소비하는 3천6백만섬보다 3백만섬이 부족한 양이다. 하지만 정부와 농협의 비축미가충분한 상태여서 쌀 부족 현상을 빚는다고 예상하긴 어렵다.
실제로 11일 농협대구경북지역본부의 쌀 공매에서 팔려고 내놓은 55만 가마 중 5만 가마 이상이 남았다. 도매상과 미곡종합처리장 등의 쌀 유통업체도 당장 쌀 수급에 문제가 없다고판단했기 때문이다. 농협의 양곡 관계자들도 올 여름 수해와 병충해 극성으로 예년 생산량을 밑돌 것이라고 내다보지만 이것이 수급 불안정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있다. 또 더이상 비가 내리지 않고 후반기 기상상태가 좋으면 3천5백만~3천6백만섬인 평년수준의 쌀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농협 대구경북지역본부 양곡과 허일구대리(39)는 "현재 비축량을 볼 때 시민들이 노파심 때문에 쌀 사재기를 할 필요는 없다"며 "9월 들어서면 쌀 20㎏당 가격이 4만원 안팎으로 떨어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全桂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