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국민회의와 자민련의원들에게 지급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휴가비가 여론의 도마에 오르자 청와대가 해명에 나섰다.
박지원(朴智元)청와대대변인은 20일 휴가비를 당총재자격의 귀향활동비로 규정한뒤 "국민회의의원 86명에게 지급한 8천6백만원은 당후원회비에서, 자민련의원 48명에게 지급한 4천8백만원은 대통령의 사재에서 각각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대변인은 이어 "당후원회비는 김봉호 국민회의당후원회장이 '전례로 봐서 당총재가 의원들의 귀향활동비를 보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사전에 전달했던 돈"이라며 "김대통령은 15일 이희호(李嬉鎬)여사 출판관련행사에 한화갑(韓和甲)총무가 참석한다는 사실을 알고 이여사로 하여금 이 돈을 전달토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 이원형(李源炯)부대변인은 "대통령의 하사금의 본질은 누구의 돈이냐도문제지만 국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옳으냐 하는 것"이라고 비아냥댔다.
한편 정가 일각에서는 큰 일도 아닌데 사재를 4천8백만원씩이나 지출했을까 하는 의문, 이여사가 돈을 내준 이유, 자민련과 국민회의 양쪽에 지급된 돈의 출처가 다른 점, 며칠동안의혹에 대해 마땅한 해명을 하지 못한 점 등을 들어 짜맞춘 흔적도 있다는 시각이다. 미국클린턴대통령의 경우 자신의 섹스스캔들 변호사비용을 마련하기위해 국민성금을 받았을 정도로 외국에서는 국가원수들의 수입, 지출이 엄격한 실정에 비춰 이번 휴가비논쟁도 정치발전의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지적들이다.
〈李憲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