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값 안정을 위해 시행 중인 '정부수매'의 방식이 16일부터는 실거래가(시가) 기준으로 바뀜으로써 앞으로의 소값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경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소값 안정을 위해 축협을 통해 5백㎏ 무게의 큰 소만 골라 하루 5백마리(경북도내서는 하루 96마리 전후)를 2백10만원의 일정 가격으로 사들여 왔다.그러나 정부는 최근 방침을 변경, 16일부터는 매입 대상을 5백㎏ 짜리로 국한하지 않고 확대, 중간 크기 소도 사들이고 잡은 고기(지육)도 수매 대상으로 하기로 했다. 또 한우 외에교잡우·비육우(수젖소)도 포함시켰다.
동시에 매입 가격 역시 일정 기준이 아닌 시가 기준으로 변경, 총액은 같되 실제로는 5백80마리 분량을 수매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경북도 관계자는 "수매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소값 안정에 더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농민들은 "지금까지는 일정화된 정부 수매가격 때문에 소값이 그나마 유지돼 왔다"며, "앞으로 이 가격 지지 기능을 버릴 경우, 시장에서의 소값은 큰 폭으로 떨어질 위험이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수매 물량에 의한 가격 지지 기능은 그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소값은 IMF 사태 이후 심각하게 동요, 가격이 크게 떨어져도 소고기 수요(소비)가 회복되지않는 심각한 통제 불능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朴鍾奉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