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의 장성급 대화가 7년만에 재개된다.
유엔사 군정위 비서장 토머스 R 라일리 대령과 북한군 판문점대표부 박임수대좌(대령)는 8일 판문점에서 열린 군정위 비서장급 접촉에서 장성급 대화를 갖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유엔사가 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지난 91년 이후 중단됐던 양측의 고위 군사채널이 7년만에 복원됐으며 첫 장성급대화는 빠르면 이달안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합의문에 따르면 장성급 대화에는 유엔사측 한국군 준장, 미군 소장, 영국군 준장 및 제3국군 대령을 비롯해 북한군 대표 등 장성이 참석한다.
유엔사측의 4개국 대표는 동등한 발언권을 지니지만 선임 장성인 미군대표(마이클 헤이든유엔사 부참모장)가 '선임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의제는 정전협정의 틀 안에서 군사문제와 관련된 사항으로 국한되며 회담은 어느 한쪽의 요청이 있을 경우 판문점 군정위 회의실에서 이뤄진다.
이에 앞서 유엔사는 지난 2월 11일 북한측에 유엔사-북한군 사이의 장성급 대화를 정식 제의한뒤 지난 4개월간 유엔사측 대표문제 등 세부절차 등을 놓고 협상을 벌여왔다.정부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비무장지대 등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때마다 고위 군사채널이 없어 수습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이번 합의로 향후 한반도 위기관리 능력을 한차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