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디스커버리호 경북대 연구팀 참여

입력 1998-06-03 15:03:00

3일 오전 7시6분(현지시간 2일 오후 6시6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임무프로젝트에 경북대 고에너지물리학 연구팀이 참여한 것으로밝혀져 화제다.

11일간 여정이 잡힌 디스커버리호의 임무는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에 생활물자를 보급하고, '입자천체물리실험장치(AMS:Alpha Magnetic Spectrometer)'를 실험하는 것. 경북대고에너지물리학 연구팀 손동철(46) 김우영(45) 박일홍(40) 김동희(40) 교수는 지난해 2월부터 바로 AMS검출기를 지상에서 테스트하기 위한 전자신호처리장치를 직접 디자인, 제작했다.

경북대 연구팀이 제작한 전자신호처리장치는 우주에서 입자가 1/1백억~1/1조 초의 빠른 속도로 지나갈때 일어나는 신호의 크기와 양을 측정할수 있는 세계최고 수준의 초정밀도 기기이다.

디스커버리호에 설치된 AMS검출기는 우주속의 '반물질'과 '암물질' 종류 및 존재비율 등을측정, 우주탄생과 진화의 신비를 벗길수 있는 인류최초의 실험도구. 이번 실험이 성공하면오는 2002년 우주정거장에 AMS 검출기를 고정설치,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AMS 프로젝트(연구비 약 50억원)는 사뮤엘 팅 미M.I.T대학교수(7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의 지휘아래 경북대(국내유일)를 비롯, 세계 12개국 38개 대학 및 연구소가 참여했다.손동철 교수는 "AMS와 함께 오는 2002년 우주정거장에 건설될 RICH(Ring ImagingCherenkov:빛의 쇼크파) 입자검출기 제작사업에도 참여하기 위해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石珉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