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사화때 순절한 탁영 김일손 선생 5백주년 추모행사가 18일 오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자계서원'에서 후손·학계·유림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이날 행사에서 추모고유제, 문학·추모비 제막식과 학계 교수들의 연구논문도 발표된다.탁영 김일손 선생(1464∼1498)은 청도군 이서면 운계리에서 출생, 김종직 문하에 입문한 후세조의 왕위찬탈을 간접 비난한 조의제문을 사초에 올렸다가 훈구파의 모함을 받아 연산군4년(1498)에 처형됐다.
무오사화때 순절한 탁영 김일손 선생 5백주년 추모행사가 18일 오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자계서원'에서 후손·학계·유림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이날 행사에서 추모고유제, 문학·추모비 제막식과 학계 교수들의 연구논문도 발표된다.탁영 김일손 선생(1464∼1498)은 청도군 이서면 운계리에서 출생, 김종직 문하에 입문한 후세조의 왕위찬탈을 간접 비난한 조의제문을 사초에 올렸다가 훈구파의 모함을 받아 연산군4년(1498)에 처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