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소주방등서 손쉽게 술 구입
IMF시대를 살고 있는 대구시내 청소년들은 흡연보다 음주에 더 심각하게
노출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동네슈퍼나(54.2%)나 소주방
(24.7%) 편의점(9.4%)에서 손쉽게 술을 구입, 구입한 업소(40.1%)나 친구집
(23.9%) 자기집(20.1%)에서 술을 마신다고 응답, 작년 7월1일 청소년 보호법
발표이후 슈퍼등에서는 술을 팔지 못하도록 한 규정이 무색할 지경.
대구 청소년의 음주율은 24.8%(1천1백1명)에 달했는데, 남학생의 28.9%(6
백72명), 여학생의 20.2%(4백29명)가 술을 마시는 것으로 응답, 성별 음주율
에 별반 차이가 없었다. 고교생 41.6%, 중학생 10.1%, 초등학생 1.1%가 술을
마셨으며, 인문고(35.7%) 보다 실업고(51.5%)가 상대적으로 술을 더 많이 마
시는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대구YWCA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과 동산병원 금연클리닉센터가 대구시
내 초중고등학생 4천4백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청소년의 흡연.음주.약물.
폭력실태'에 따르면 술을 마시게 된 동기는 친구나 선배의 권유(34.3%)가 가
장 많았고, 친구와 어울리기 위해(17.7%), 호기심(17.%)으로 술을 마시게 된
것으로 응답했다.
흡연율은 전체 4천4백45명 가운데 8.5%(3백76명). 피우다가 끊은 금연율은
10.8%(4백79명), 비흡연율은 80.8%(3천5백90명)였고, 대중매체가 흡연에 영
향을 미쳤다는 청소년 응답이 64.3%나 돼 미디어 감시작업이 뒤따라야할 것
으로 보인다. 흡연은 등하교길(29%) 집(16.8%) 휴식시간(16%) 점심시간
(7.7%) 수업중 화장실(3.5%) 등에서 이뤄졌다.
폭력문제의 경우 폭력사용경험 7.4%(3백30명), 폭력을 당한 경험은
15.3%(6백81명)이었다. 폭력의 종류는 맞았다(56.7%)가 가장 많았으며 폭언
과 욕설(23.6%) 돈과 금품탈취(19.7%) 순이었고, 폭행당한 횟수는 월1~2회
(85.3%)가 대부분이었다.
〈崔美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