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여야의 힘겨루기로 기획예산처가 결국 대통령직속의 기획예산위와 예산청으로 분리처리되자 여권은 정계개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신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여권내부에서는 할 수만 있다면 인위적인 정계개편이라도 시도해야 한다는 분위기지만 아직은 정계 개편 움직임이 무르익지 않았다고 판단, 한나라당의 내부사정에 더 신경을 쏟고 있는 형편이다.
대선직후부터 한나라당의 수도권출신 일부 초재선의원들의 국민회의입당설이 간헐적으로 흘러나오고 있고 JP총리임명동의안등의 현안을 앞두고 야당의원들에 대한 개별접촉을 강화하면서 여권은 현여소야대 정국의 변화는 시간문제라는 자신감을 갖기 시작했다. 구심점없는 한나라당의 내분은 정계개편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정부가 출범하지도 않았는데 한나라당의 일부의원들을 영입할 경우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하지않겠다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당선자가 약속을 어겼다는 비난여론을 받을 수 있는데다 오히려 한나라당의 결속을 강화해주는 등의 부작용이 적지않다는 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있다.
김당선자도 "우리는 여소야대때문에 참 어려운 형편이다. 야당이 도와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없다"며 정계개편의 필요성을 시사한 바 있다. 국민회의등 여권내부에서는 한나라당인사들의 영입가능성을 파악하는등 정계개편에 대비한 검토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있다.정계개편의 1차 계기는 오는 3월10일로 예정된 한나라당의 전당대회. 이어 6·4지방선거는 자연스런 정계개편의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일반적인 예측이다. 그러나 이에 앞서 새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내정된 자민련 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의 총리임명동의안처리를 둘러싼 한나라당의 내홍(內訌)이 당분열을 촉발하기 시작했다. 김종호(金宗鎬) 박세직(朴世直)의원등 중진의원 4명이 JP총리임명에 찬성한다며 공개적으로 당론에 반기를 든 것이다.
그래서 오는 25일 새정부출범직후 열릴 임시국회에서의 JP총리임명동의안처리는 한나라당의 분열을 재촉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있다.
〈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