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물가상승률을 9%%이내로 관리하기로 합의했으나 환율상승에 따른 압력요인이 너무 커 실제로는 소비자물가가 12%%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산업연구원(KIET)은 8일 내놓은 'IMF 자금지원하의 98/99년 경제정책방향' 보고서를 통해 "올해에는 고환율과 세금 인상, 수입원재료를 사용하는 식품의 가격폭등등으로 소비자 물가가 12%%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내년도에는 환율의 안정과소비 자제 분위기에 힘입어 물가 상승폭이7%% 선으로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원 또 "올해 경제성장률은 1.3%%에 머무르고 고용조정을 수반한 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됨에따라 실업률이 4.7%%까지 상승, 실업자수가 지난해의 두배에 가까운 1백만명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내년에는 경제성장률이 3.4%% 수준으로 다소 회복되겠지만 노동시장에 신규진입하는 노동력을 감안할 경우 실업률이 큰 폭으로 하락하기는 어려워 4%% 수준의 실업률을 유지하게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물가상승 대책으로는 "원유·원면 등 필수 원자재의 수입업체를 지정, 수입신용장을 우선적으로 개설해주는 등 수입물가를 안정화하고 환율하락 때 유가인하를 강력히 유도해야 하며 공공요금와 서비스요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