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년대만 해도 은행원이라면 1등신랑감으로 꼽혔다. 직업이 오늘날처럼 다양하지 못했던 그 시절엔 샐러리맨가운데 전도가 밝은 가장 안정되고 믿을수 있는 직장인이 은행원이었다. 그러니 자연 은행간부의 자녀들까지 좋은 신부나 신랑을 골라갈만큼 혼처 좋은 집안으로 꼽히기도 했다. 그래서 그 당시엔 시골의 택호처럼 동네사람들도 '은행집''지점장댁''행장댁'으로 부르기도 해 요즘으로 치면 '잘나가는집'이었다. ▲그런 은행원들의 시세가 요즘 말이 아니게 됐다. 여대생이나 미혼의직장여성들의 신랑감 '베스트 10'순위에서 부동의 최상에서 한참 밀려 하위순으로추락했다. 이런 연유는 말할 것도 없이 최근의 금융위기가 근본원인이다. 보너스 1천2백%%에 연말에 돈이 남아 특별상여금까지 받아왔던 그 은행원들이 요즘은 실직걱정을 해야할만큼 급전직하해 버렸다. 우리은행이 언제 문을 닫을까. 어느 은행과 합병을 하나. 내자리는 보장이 될까등등의 살아남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금융기관의 부도로 예금인출사태가 나면서 제2금융권을 비롯, 은행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지금 극에 달해 있다. 정부조차 못믿을 판국이니 그럴수밖에 없다. 이런 은행위기감탓인지 은행원들에 피 고객예금횡령사건이 최근 잦아지고 있다. 특히 기업은행 남녀행원2명이 홈뱅킹을 악용해 고객예금 10억원을 교묘히 빼내 해외도피했다는 범죄는 은행신용에 결정타가 아닌가 싶다. ▲가뜩이나 불안을 느끼는 국민들에겐 은행부도걱정에다 행원들의 범죄까지 걱정해야할 판국이다. 이게 확산되면 은행에 돈을 맡길 사람이 있을지 참으로 걱정된다. '은행=신용'이란 공식이 깨지면은행뿐 아니라 우리사회 전체가 무너진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