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21일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홍범도장군 등 98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12명을 선정, 발표했다.
보훈처는 이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매월 독립기념관에 특별전시실을 마련, 관련 유품과 사진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다음은 98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명단 및 공적이다.
▲1월 신언준(1904-1938)=평남 평원 출생. 지난 1929년 동아일보 상해특파원으로 독립운동을 널리알렸다. 흥사단 제17차 원동대회 연사와 상해 인성학교 학감 등을 역임했으며 중국군관학교에 한국청년 입교를 주도, 독립군을 양성했다.
▲2월 민긍호(미상-1908)=서울 출생. 지난 1907년 원주 진위대 특무장교로 군대해산에 항거해 원주, 여주, 이천, 홍천 일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1908년 치악산 강림전투에서 순국했다.▲3월 백용성(1864-1940)=전북 남원 출생. 지난 1919년 민족대표 33인중 1인으로 활동하다 체포돼1년6개월의 징역형을 받았다. 대처승을 인정하는 일본정부 내무대신 앞으로 건의서를 제출하는 등왜색불교 타파에 앞장섰다.
▲4월 황병학(1876-1931)=전남 광양 출생. 1908년 고향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했으며 1919년 군자금을 모아 만주로 망명했다. 이듬해 임시정부의 밀명을 받고 군자금을 모으기 위해 압록강을 건너오다 일경에 체포돼 3년의 옥고를 치렀다.
▲5월 김인전(1876-1923)=충남 서천 출생. 1920년 상해임시의정원 부의장 및 정무조사특별위원을역임했다. 1922년 김구 선생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를 발기해 군대 양성과 독립전쟁 비용 조달에주력했으며, 1932년 해산될 때까지 무장 항일투쟁을 위한 간부양성에 공헌했다.▲6월 이원대(1911-1943)=경북 영천 출생. 1933년 남경 조선의열단 간부학교를 수료한뒤 민족 혁명단에 가입했으며, 조선의용대원으로 활동했다. 일본군과 교전도중 붙잡혀 고문으로 순국했다.▲7월 김마리아(1884-1944)=황해도 송화 출생. 여성 독립운동가로 1919년 동경에서 2·8 독립선언에 참여했으며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회장으로 활약하던중 체포돼 3년간 옥고를 치렀다. 1930년 미국에서 근화회를 조직, 회장을 역임했으며, 1935년 귀국해 원산의 신학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8월 안희제(1885-1943)=경남 의령 출생. 1909년 대동청년당을 조직했으며, 1914년 백산상회를설립해 독립운동 연락을 맡고 군자금을 지원했다. 1933년 발해의 옛 수도인 동경성 부근에 발해농장 및 발해학교를 설립, 이주해간 농민들에게 민족교육을 실시했다.
▲9월 장도빈(1888-1963)=평남 중화 출생. 1908년 대한매일신보 논설 주필을 역임했으며, 한성도서주식회사를 세워 역사서를 발간하는 등 한국사 연구 및 민족의식고취에 앞장섰다.▲10월 홍범도(1896-1943)=평남 양덕 출생. 1907년 함남 갑산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벌였으며,1920년 대한독립군 총사령관으로 봉오동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청산리전투에 제1연대장으로 참전했으며, 대한독립단을 조직해 부총재를 맡았다.
▲11월 신돌석(1878-1908)=경북 영덕 출생. 서민출신의 대표적 의병장으로 1896년 고향에서 부친과 함께 의병활동을 벌여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전국 각지를 돌며 의병을 모아 1907년 13도 연합의병진의 교남의병 대장을 역임했으며, 일군을 격퇴하는 등 명성을 떨쳤다.▲12월 이윤재(1888-1943)=경남 김해 출생. 1919년 평북 영변에서 3·1 만세운동에 참가했으며,1929년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 집행위원을 역임했다. 1931년부터 한글 강습회를 열어 한글 보급에앞장서다 일본 경찰에 체포돼 1943년 고문으로 옥중에서 순국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