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를 태울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이 발암물질이라는 인식이 깊어진 후 주춤하던 대구시의 '소각위주 쓰레기 처리정책'이 다시 추진되고 있다. 다이옥신 배출농도 떨어뜨리기에 어느 정도 자신을 갖게 된 것. 지난7월 개정된 폐기물 관리법에 규정된 권장치와 기준치에 맞출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폐기물 관리법은 신설 소각로의 경우 다이옥신 배출 기준치를 0.1ng(나노그램)으로, 현재 가동중인 소각로는 99년6월까지 0.5ng, 2003년7월부터는 0.1ng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하고 있다.현재 대구에서 가동중인 소각장은 2백t 규모의 성서 1호기. 환경관리공단 검사팀이 지난달 24일과25일 성서소각장 1호기를 분석한 결과 다이옥신 평균배출량은 0.84ng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분무시설을 설치한 결과 종전 13.46ng에서 이같이 줄어들었고 예상치인 5ng보다도 훨씬 낮은 수치.시 관계자는"내년 말이면 1호기에 백(bag)필터 및 선택적 촉매탈질설비 추가설치가 끝난다"며"법정시기보다 4년이상 앞당겨 기준치인 0.1ng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지난 95년8월 공사에 들어간 성서 2호기는 내년 말부터 가동할 예정. 2호기의 경우 2백톤 규모소각로 2개가 들어서 1호기의 두배 용량이지만 다이옥신 배출농도는 0.1ng이하. 이렇게 되면 하루 6백톤의 쓰레기를 '하자 없이'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대구시 쓰레기 발생량과 처리기준에 맞추려면 소각시설이 더 필요하다는 것.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종전 전량 매립했던 음식물 쓰레기까지 2005년 이후엔 일절 매립할 수 없게 됐기 때문. 음식물 쓰레기는 퇴비·사료화 하되 남는 것은 모두 소각토록 규정하고 있다.지금까지 대구시의 쓰레기 정책은 상당 부분에서 법규보다 앞서왔다. 소각 분야 역시 2000년말까지 소각장을 1천t 규모로 늘려 가연성 쓰레기를 1백%% 소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신설 소각장후보지로 지목된 곳이 바로 칠곡(북구 국우동). 칠곡소각장은 4백t 규모로 성서와 합하면 정책목표인 가연성 쓰레기 전량소각에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순조롭게 추진되던 칠곡소각장 건설은 다이옥신문제로 전면 유보됐었다. 문희갑 시장이 얼마전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낮출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소각장 건설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던 것.때문에 칠곡소각장 건설은 당분간 재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었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에 자신이 생기자 대구시는 최근 칠곡소각장 건설문제를 내부토론에 부쳤다.논의결과 현재의 다이옥신 배출 수준이라면 주민들을 충분히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또 추진이 늦을수록 쓰레기 문제해결도 그만큼 늦어지므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나왔다.
남은 것은 문시장의 결심과 주민들의 이해. 다이옥신 문제가 해결된다 해도 쓰레기 소각장이 혐오시설이라는 점에서 주민들의 님비(Nimby) 심리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게 분명한 마당. 따라서선거를 앞둔 민선시장이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게 주위 분석이다. 시급하고 분명한 정책목표와 주민반대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대구시가 어떤 방식을 취할지 주목된다.〈金在璥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