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 인간의 뇌 신경질환의 원인규명과 치료법 개발연구에 획기적인 새기술이 개발됐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신희섭교수팀은 '유전자 적중기법'을 이용, 포스포리파제-C(PLC, 효소의 일종) 효소반응을 통해 뇌세포가 어떻게 서로 다른 외부신호를 구별하고 이에 적절히 반응하는가를규명해 냈다.
신교수팀이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은 영국에서 발행되는 세계적 과학전문지인 '네이처'지에 9월18일자로 게재됐다.
이 기술개발로 사람에게 나타나는 간질이나 치매, 뇌출혈, 운동실조증같은 뇌 신경질환등의 원인규명은 물론 치료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것으로 보인다.
신교수팀은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제거한 생쥐를 이용, 신기술을 개발했는데 곧 임상실험을 거쳐사람의 뇌신경질환 치료에 적용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학자들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PLC 효소들이 사람 몸안에서 어떻게 서로 다른 외부신호를 구별하고 이에 반응하는가 하는 것이 오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포항·林省男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