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의 각종 항공시설 및 관제의 운용체계가 군·건교부·공항공단 등으로 3원화 돼있어 항공기 운용의 혼선에 따른 사고위험이 높다는 지적이다.
특히 군용 및 민간 항공기가 활주로를 함께 사용함에 따라 운항시간과 횟수의 제약은 물론 항로및 이·착륙 관제에 큰 허점을 노출, 군용기·민항기 분리운영이 시급하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잇따르고 있다.
현재 대구공항 활주로의 착륙유도장치 등 계기비행을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운용은 한국공항공단 대구지사가 맡고 있는 반면, 이·착륙 유도 등 공항내 모든 항공기의 관제는 공군이 담당하고있다. 또 민항기가 타지역에서 대구·경북지역에 들어와 대구공항으로 진입할때까지의 접근관제는 건교부가 맡고 있지만, 공항으로 진입한 후엔 관제권이 공군에 있어 시설운용, 공항관제, 공항접근관제가 모두 분리돼있다.
이 때문에 민항기의 이·착륙 지연사태나 군용기의 예외적인 운항 등 비상시 민항기와 군용기의근접비행에 따른 충돌위험 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공군이 대구공항을 군용기 중심으로 운용하면서 활주로의 강도등 안전성을 군중심으로판단, 항공기 안전에 대한 포괄 점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
대구공항 한 관계자는 "이런 상황에선 항공사고 발생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사고시 책임한계 불투명 등 문제가 많다"고 밝히고 "지난해 민항기와 군용기 관제의 분리운영이 검토됐지만 각종 항공시설의 배치문제 때문에 전면 유보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대구공항에는 하루 20편의소형민항기가 주야간 운항하고 있으며 중형기는 주8회 운항되고 있다.
〈金炳九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