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기 추락 사고현장을 수습중인 미당국은 7일 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가 현장 조사에 나서는 등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측은 정확한 사고원인 규명은 앞으로 1년 가량이 소요될 전망이나 블랙박스의 일부 해독 결과는 금주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틴 젠잭 괌 미 해군기지 사령관과 클리포드 구스몬 지사 대변인, 조지 블랙 NTSB 위원장은이날 오후 7시께 사고 현장인 니미츠 힐스 인근 '미디어 센터'에서 내.외신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이같이 밝혔다.
블랙 위원장은 "NTSB 요원 18명이 6일 밤 괌에 도착, 7일 아침 부터 사고현장 조사에 착수했다"면서 "그러나 미국의 밸류 제트사고 경우에서 처럼 완전한 사고원인규명은 1년 또는 그 이상 소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 이틀뒤면 블랙박스의 일부 기록을 파악할 수 있으며 1주일 후면 비행지도도 작성할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구조 작업을 총괄지휘중인 젠잭 사령관은 "사고기의 열기가 다 식어 오늘 부터 중단했던 구조작업을 재개했다"고 밝혔으나 추가로 발굴된 시신 여부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다음은 일문일답.
-사고 원인은.
▲사고 원인에 대해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 현재 분석 중인 블랙박스에는 비행속도 등 17개의 서로 다른 기록을 담은 비행경로기록장치(DFDR)가 있으며 이틀후면 이를 해독할 수 있다. 또 1주일후면 비행지도도 작성할 수 있다.
블랙박스 중 조종실에서의 대화를 녹음한 음성기록장치(CVR)에 한국어가 녹음돼있어 해독해야한다.
-현장 조사작업으로 인해 시신발굴 등 구조작업이 지장을 받고 있다는 우려가 높은데.
▲NTSB의 조사 작업에 상관없이 예정대로 오전 6시부터 구조작업을 진행했으며 두가지 활동이전혀 상충되는 게 없었다. 특히 발굴되는 시신은 최대한 인도적인 차원에서 취급,보존하고 있다.
-사고기가 착륙 당시 공항주변에서 착륙을 유도해주는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가 작동하지않은 데 대해서는.
▲정규 보수기간이어서 꺼져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사고기 조종사는 출발 때부터 이같은 사실을 알고 있었다.
-활주로에 설치된 착륙 지시등이 고장났다는 말도 있는데.
▲(젠잭 사령관) 착륙시에 어떠했는지는 모르겠다. 본인이 사고가 난지 1시간30분만인 3시에 확인했는데 작동하고 있었다.
-왜 일상적인 에어버스 기종이 아닌 보잉 747이 취항했는가.
▲전세기였기 때문이다.(대한항공은 사고기를 이용, 금주 사모아에서 열리는 남태평양 대회에 참가할 괌 선수단을 싣고 갈 계획으로 전세기를 투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