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교폭력과 학생범죄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학교교육개혁연구회의 조사에 의하면, 교사의85.1%%, 학부모의 92.1%%가 이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 학생범죄 수도 70년 9천9백20명이었으나1995년에 8만2천4백42명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학생폭력과 범죄로 인하여 학교등교 기피, 우울증에 빠진 학생, 정신과적 치료, 자살기도 등 그 폐해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교와 교육의 병리현상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은 없을까. 교육부는 지난 58년부터 교도교사제를 도입, 상담실설치를 의무화해 교도교사가 학교부적응 및 문제학생들을 상담, 지도하고있으나 역부족인 듯하다.
이러한 병리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학교사회사업가제도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학교사회사업가는 학생들이 건전한 사회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학생개인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개입해 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문적지식으로 학교-학생-지역사회 연계자의 역할을 수행해 학교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학교사회사업은 비록 문제학생이라 할지라도 인간의 존엄에 바탕을 두고 학생들의 삶의 질을향상시켜 학생복지를 실현하는 사회복지의 한 전문분야로 교육병리현상으로 야기되는 학생문제와사회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학생개인에게 주어진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 학생.학교.가족.지역사회 등의 통합적 접근을 요하는 학교폭력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대구경북사회복지사 협회회장 배기효 (대구보건전문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