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국회 소집 허찔린 신한국당"
6월 임시국회 소집문제에 대한 여야 입장이 23일 총무회담을 계기로 정반대로 돌아섰다.이날 회담에서 국민회의 박상천총무와 자민련 이정무총무는 그동안 임시국회 소집 전제조건으로제시해온 정치개혁특위의 여야 동수 구성원칙을 철회하고 무조건국회를 열 것을 제의, 신한국당의 허를 찔렀다.
이에 대해 그동안 임시국회 소집을 주장해온 신한국당 박희태총무는 "당내 의견조율을 거쳐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25일 총무회담에서 최종입장을 통보하겠다"고 밝혔다.신한국당 박총무는 이 시점에서 임시국회 개원은 무리라면서 "그동안 줄기차게 국회를 열자고 촉구했으나 응하지 않다가 이제와서 무조건 국회를 열자고 나오니 의아스럽다"고 오히려 야당측 저의를 의심했다.
이같은 박희태총무의 반응에 비추어, 신한국당이 25일 최종담판에서 임시국회소집에 동의하더라도 당내 경선일정을 감안, 민생법안 우선처리및 정치개혁특위 연기나 회기단축등 '전제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당 지도부는 내달 21일 대통령후보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야당이 임시국회를 정략적으로 이용하려 할 것이라는 판단아래 대선자금등을 놓고 파상공세를 펼칠 수 있는 멍석을 깔아주는게 이로울 게 없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신한국당은 그동안 야당이 과거 선례를 들어 특위 여야동수 구성을 요구한데 대해 '국회법에 어긋난다'는 명분으로 거부입장을 보여왔다. 과거의 선례는 정치적 타협에 의한 예외에 해당된다는논리였다.
그러나 신한국당이 이 명분을 강조한 이면에는 당내 경선일정과 과정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우려도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여야간 신경전으로 6월 한달을 거의 다 넘기고 경선일정이 코앞에 다가온 상황에서 국회소집은 들어주기가 어렵다는게 여당측 판단인 것으로 전해지고있다.
그렇지만 그동안 임시국회소집을 주장해오다가 정작 야당측이 '전제조건'을 철회하자 이제는 여당이 임시국회소집에 난색을 표해 자칫 스타일을 꾸길 가능성이 크다는데 여당측의 고민이 있을것 같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이날 그동안 '절대 양보불가'를 외치던 특위의 여야동수구성조건을 전격 철회하고 무조건 국회 소집을 들고 나온 것 역시 신한국당이 당내경선일정때문에 6월 임시국회를열 의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한 데 따른 대여 공세의측면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국민회의 박상천총무는 이날 총무회담에 앞서 "최근 청와대가 중앙은행제도 개편안에 대한 반발때문에 금융개혁안을 이번 국회에서 처리하지 않기로 방침을 바꿈으로써 신한국당에게 임시국회소집을 강요하던 유일한 요인이 사라졌다"고 말해 여권이 국회소집의사가 없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양당은 민생국회소집이 늦어지고 있다는 여론의 비판을 감안했겠지만, 다른 측면에선 24일 자민련 전당대회가 끝나는 것을 계기로 국회라는 자리를 빌려 대통령선거자금과 경부고속철도부실공사 문제등에 대한 국정조사요구와 정치개혁에 대한 여당입장 비난등 대여 총공세를 폄으로써 경선문제로 심화일로에 있는 신한국당 내분을 부채질하기 위해 무조건 소집으로 선회했다고도 볼수 있다.
야당이 이날 조건없는 임시국회를 주장하고 나섬으로써 그동안 야당의 여야동수특위구성을 받아주더라도 국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해온 이한동고문을 비롯한 신한국당내 반이회창 진영도 어떤형태로든 이 문제를 당내 대결구도와 연결시킬 가능성이 높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