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대선후보단일화 행보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민회의는 18일오전 당사에서'야권대통령후보단일화추진위(대단추)'현판식을 가졌다. 이에 앞서 한광옥(韓光玉) 대단추위원장은 자민련 김용환(金龍煥)사무총장과 만나 자민련 전당대회가 끝난뒤인 다음달 초부터 단일화 협상을 공식적으로추진키로 했다.
양당은 20일 광주에서, 그리고 29일엔 경기파주에서 지도부 회동을 갖는다. 각각 국민회의 김인곤의원의 고희연과 골프모임 형식을 통해서다. 두차례 회동이 대단추에서 기획됐다는 점에서 그 목적을 엿볼 수있다. 특히 광주모임에는 대단추위원 11명 전원이 참석하고 양당총재간 단독회동도이뤄진다는 것이다. 자민련측 역시 이번 모임을 후보단일화를 겨냥한 '양대 이벤트'라고 평가했다.
국민회의는 또 총리의 권한을 실질적으로 강화하는'국무총리 헌법권한의 행사절차 등에 관한 법안'을 임시국회에 제출키로 했다. 총리가 임명제청한 국무위원 및 행정 각 부의 장에 대해선 대통령이 법적 결격사유가 없는한 임명토록 했으며 총리 권한행사는 모두 문서로, 공개적으로 처리토록한 게 주내용이다. 김원길정책위의장은 "공동집권을 꾀하는 DJP단일화 협상에도 유리한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자민련측을 의식한 법안임을 스스로 고백했다. 즉 자민련측에 집권후 지분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구체화한것이다.
자민련도 김종필(金鍾泌)총재의 당내 측근조직인 'JP그룹'을 통해 19일 국민회의 이종찬부총재를초청,단일화에 대한 입장 등을 타진키로 했다. 4일 전당대회에서는 부총재급을 위원장으로 한 단일화협상 수임기구를 출범시킨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단일화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선 상호간의 신뢰성 회복이 최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집권후 과연 내각제 개헌과 권력 분점이란 약속이 이행될 것인가에 대한 확신을 갖기어렵다는 말이다. 게다가 양당은 협상도 하기 전에 이미 자신들 총재가 단일후보라고 공언하고있는 상황이다.
한광옥위원장은"단일화 성사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구축"이라고 털어놨다. 자민련 안택수대변인도 총리권한강화 법안에 대해"문제는 제도가 아니라 법 집행권자의 의지"라고 지적했다.양당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단일화가 아니라 신뢰성 회복을 위한 협상으로 보인다.〈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