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역사 지하화, '위천'단지, 지하철운영비 지원"
위기의 대구, 되는 일이 없다. 경제는 회생은커녕 현상유지도 어렵다. 그런 중에 고속철·지하철등 사회기반시설 계획조차 휘청거린다. 뭔가 자꾸 맺히고 꼬이고 있다. 전체 상황을 전면 재점검,명확한 장기 전망과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
왔다갔다하던 경부고속철 정책(본보 5월13일자 보도)은 드디어 동대구역사 지상 건설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건교부 의뢰를 받은 교통개발연구원이 최근 그런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로 할 경우 건설에 7년이나 걸리고 기술 부족으로 지하소음해결을 못해민감한 전자운용체계가 위협받기 때문이라고 했다. 역사가 지상화되면 노선도 지상화될 가능성이커 대구시민들에게 또한번 분노와 좌절을 안겨줄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하철 1호선 개통에 맞춰 운영비를 지원해 달라는 대구시의 요청도 최근 중앙정부에 의해 거부됐다. 지하철 사업은 운영에서만도 지방정부에 엄청난 출혈을 강요, 부산 지하철에 대해서는 이미중앙정부가 운영비의 32%%를 지원함으로써 부산시는 부담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이 전례에 따라 대구시도 내년 적자 예상액 3백43억원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부됐다는 것이다. 다만 건설비 및필요한 이자부담 등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 비율을 높이기로 됐으나, 이것은 광주·대전 등 다른도시들의 불가피한 사정 때문에 요구가 덩달아 반영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위천국가산업단지 조성 역시 사실상 힘들어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6월 임시국회가 불투명해짐으로써 수질개선법 처리가 불가능, 이것 이후에 공단 지정 절차를 밟겠다는 중앙정부 약속이 이행 불가능케 됐다는 것이다.
위천이 이같이 휘청거리자 별도로 조성키로 했던 중소규모 공단조차 추진을 못하는 이중 피해가발생하고 있다. 2개 정도의 이들 공단은 달성지역에 별도로 조성, 긴급한 공장부지 수요를 충당함으로써 경제 회생을 지원하려 했던 것. 그러나 대구시는 이 사업을 먼저 추진할 경우 위천국가산업단지까지 영향 받을것을 우려, 공개추진조차 못해 그마저 조성 시기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사고 있다.
〈朴鍾奉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