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논단-'사내기술대학'설립 허용 방침

입력 1997-06-02 00:00:00

지난달 26일 입법 예고된 '기술대학 설립 운영규정'에 대해 대학기관에 몸담고 있는 입장에서 몇마디 하고자 한다.

이번에 입법 예고된 내용은 기존의 전문대학에서도 얼마든지 수용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정책당국이 유형과 기능이 거의 같은 기술대학을 세우기 위해 특별법까지 제정해야 하는지 묻고 싶다.현재 우리 산업체들이 겪고 있는 인력난은 10만여명의 기능공과 약5만여명의 중소제조업체의 단순기술 인력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런데 만일 이 법이 시행되면 국가·사회적으로는 물론 교육적인 과소비를 가져올 것이 뻔하다.또한 기술대학이 대학문화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 묻고 싶다. 산업체 근무자들이 원하는 것은자격이나 학위취득이 아니라 폭넓게 대학 문화를 접하는 것이다. 공장 근무의 연장과 같은 사내기술대학으로서는 그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을 것이다.

이미 전문대학에서는 2부제를 도입하여 산업체 근무자의 입학 문호를 개방하고 있으며, 또한 산업체의 고급 인력을 교수로 활용키 위해 겸임 교수제를 도입, 그 실효를 거두고 있다. 특히 9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산업체 위탁교육 제도는 기술인력 양성과 캠퍼스 문화에 접할 수 있는 길로서 현재 활성화 단계에 접어들어 이 또한 실효를 거두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기술대학의 설립은 그 존재 가치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국력의 낭비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기관을 상대적으로 낙후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정부 당국자는 명심해야만 할 것이다.

김성공 (대경전문대학 기획조정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