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지역 경제의 견인차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자동차부품 산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하기위해서는 완성차메이커-부품업체 간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부품업체의 자체 기술개발 능력을 높여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소장 조봉진)가 21일 이 대학 대명동 캠퍼스 동서문화관에서 연 '자동차부품 산업 육성을 위한 국제 벤치마킹 심포지엄'엔 김태구 대우자동차 회장·현영석 한남대경상대학장·다나베 마모루 일본전장 그룹 고문 등 국내외 자동차산업 관계자들이 참석, 각자 주장을 펼쳤다.
대우 김태구회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과제로 신 시장 개척 및 글로벌화를 제시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한편 부품업체들의 기술력을 높여 생산비를 절감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회장은 또 완성차메이커와 부품업체 간 협력관계를 강화해 중소 부품업체에 대한 자금지원은 물론 경영지도도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해외 토론자로 초청된 일본중부산업연맹 사사키 겐 경영개발본부장은 도요타자동차의 성공은 적시납품체제(JIT)와 함께 계열 부품협력업체들이 절삭·주조·단조 등 기초기술부문에서 우수한능력을 보유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李宗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